top of page

패션산업의 '언택트 마케팅'

와이더플래닛의 다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코로나 사태 이후 패션 업계의 변화 및

패션 트렌드 세터의 행태를 분석한 내용과 향후 패션산업이 추진할 마케팅 방안에 대한

내용을 제안했습니다.


와이더플래닛에서 분석한 패션업계의 현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패션 트렌드세터는 일반 패션 사용자에 비해 패션 제품에 압도적으로 사용하고 구매하는

사용자이며, 상위 구매자 15%에 해당되는 사용자입니다.

2020년 상반기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온라인 패션 트렌드 세터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코로나 이후에도 패션 트렌드 세터들의 구매는 감소하지 않고 일반 패션사용자 대비 구매력이 월등히 높고 온라인 수요가 높으므로 패션기업은 성장하기 위하여 패션 트렌드세터를 유치하여야 한다. 와이더플래닛에서 제안하는 전략은 데이터에 기반한 마케팅 전략 구축 및 유연한 플랫폼 확장이며 이를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언택트 시대에 패션산업이 생존하기 위해 기존과 다른 방식을 추진해야 하는데

와이더플래닛이 제안하는 언택트 마케팅 방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언택트 마케팅의 To-Be AI 기술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해 마케터는 좀 더 마케팅 본질을

집중하는 것입니다.

- 와이더플래닛 "패션 트렌드세터들이 코로나 시대를 살아가는 방법" 요약 -

60 views0 comments

Recent Posts

See All

디지털과 함께 자주 언급되는 단어는 플랫폼 사업입니다. 해외에서는 Amazon, Facebook, Uber 등, 국내에서는 쿠팡, 배달의 민족, 카카오뱅크 등 다양한 플랫폼 사업들이 성공하면서 플랫폼 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기업마다 어떤 플랫폼을 구축하겠다고 선언하고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 시대에 IT 기업들이 금융, 유통 등 다양한 영역에서

bottom of page